카테고리 없음
디지털미디어 피해 청소년 회복지원 사업, 서비스내용, 피해예방
므야
2024. 6. 27. 09:36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오늘날 청소년들은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 사이버폭력, 개인정보 침해 등의 문제로 인해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와 지역사회는 디지털미디어 피해 청소년 회복지원 사업을 마련하여 청소년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디지털미디어 피해 청소년 회복지원 사업(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치료비 지원) 사업
- 급격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청소년의 매체이용 증가로 인한 사이버도박, 인터넷 ·스마트폰 과의존 등의 디지털미디어 역기능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합니다.
지원대상
- 만 19세 미만의 청소넌을 대상
서비스내용
-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 전수조사결과 인터넷 ·스마트폰 과의존 및 사이버도박 위험군 청소년에게 치유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개별/집단 상담 및 전화/사이버 상담 등
- 기숙형 치유캠프, 가족치유캠프,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 운영
- 인터넷(게임)중독 예방 및 해소 프로그램 개발
- 미디어 과의존 위험군 중 우울증, ADHD 등 기타 공존질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치료비를 지원합니다.
- 치료비 지원 : 일발계층 최대 40만원, 취약계층 최대 60만원
- 취약계층 지원 대상 : 기준 중위소득 50%이하, 한부모가정, 소년소녀가장 등 취약계층 청소년에 대하여는 청소년복지실무위원회 또는 청소년복지심의위원회에서 결정
- 디지털미디어 피해 청소년 회복을 위한 상담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전문교재를 개발합니다.
디지털미디어 피해 예방
1.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
- 청소년, 학부모, 교사 등 모두가 디지털미디어 활용 능력과 안전한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미디어 관련 위험을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건전한 디지털 문화 조성
- 온라인상에서의 예의 바른 언어 사용, 타인에 대한 존중 등 건전한 디지털 문화를 실천하고 확산시켜야 합니다. 이는 사이버폭력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3. 가정 내 디지털미디어 관리
-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디지털미디어 사용 시간, 콘텐츠 등을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과의존 예방 및 건강한 미디어 사용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4. 학교 내 디지털미디어 교육 강화
- 학교 교육과정에 디지털미디어 활용 및 안전 교육을 체계적으로 편성하여 청소년들의 디지털 역량을 높이고 피해 예방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5.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 지역사회 내 교육청, 경찰서, 청소년기관 등이 협력하여 디지털미디어 피해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피해 발생 시 신속한 개입과 지원이 가능합니다.
6. 정책 및 제도 개선 참여
- 디지털미디어 피해 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이러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디지털미디어 피해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하고 건강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신청방법
- 지역청소년복지센터를 통해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전화 : 지역번호 +1388
- 문자메시지 : 1388
- 카카오톡 : '청소년 상담 1388' 검색, 채널추가 후 고민상담
- 페이스북 : '청소년 상담 1388' 검색, 상담 내용 작성 후 고민상담
- 온라인 : https://www.cyber1388.kr 접속 후 채팅· 게시판 상담 이용. 7월2일 이후 https://www.1388.go.kr 이용
728x90
디지털미디어 피해 예방 및 대응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정책 수립 및 개선 과정에 청소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건강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합니다. 우리 모두가 함께 힘을 모아 청소년들의 안전한 디지털 세상 만들기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